본문 바로가기

TIL (Today I learn)

9월 23일 (수)_First Project - 03 (SR)

오늘의 프로젝트 진행 상황

1. 마일스톤 작성

2. 프로젝트 태스크 카드 작성 & 분배

3. 팀 룰 작성

4. API 문서 작성

1. 마일스톤 작성

  Github를 사용하여 마일스톤을 작성하였습니다. 저희는 Mohaji의 Server를 구성함으로 위와 같이 백엔드가 제작해야하는 부분들인 DB, API, 배포 부문으로 이정표를 나누어보았습니다. 각각의 이정표안의 내용물은 아래 2번 프로젝트 태스크 카드를 통해 구성하였습니다.

2. 프로젝트 태스크 카드 작성 & 분배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 진행해야할 기능 구현들을 Issue 카드로 정리하였습니다. Issue 카드는 컴포넌트 단위로 기준을 잡아 만들었습니다. 만들면서 각 이슈마다 정해진 시간, 긴급도 등을 넣었는데, 저희가 다음주 추석을 제외하면 정규시간은 총 56시간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것에 맞춰 넉넉하게 시간을 준다는 생각으로 시간을 배분하였지만 그럼에도 생각보다는 적은 46시간이 총 시간으로 나왔습니다. 물론 실제로 작업을 진행하면서는 Issue가 Close 될 때마다 실제 사용시간 등을 기입하면서 예상과의 차이를 살펴볼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기대하는 효과로는 현업에서 업무를 배정 받을 때 나의 퍼포먼스를 고려한 예상시간을 담당자에게 말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아마 코드스테이츠에서도 이런 생각으로 이 작업을 진행해보라고 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3. 팀 룰 작성

 

 

 

 

 

  위에는 팀 룰 작성의 일부를 발췌한 사진입니다. 보시다시피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지켜야 할 규칙등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중요한 규칙은 맨 아래 쉬는 시간 관련 규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며칠동안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지켜보니, 저희 팀원들은 열정과 성취도가 높아 쉬는시간을 챙기지 않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규칙을 추가하였습니다.ㅎㅎ 그 밖에도 비밀스로운 정보를 저장하기위해 .env를 사용한다, 버전 통일, commit 메세지 작성 등 여러가지 규칙들을 정하였습니다. 우선 대략적으로 정하였지만 아마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수정사항들이 생기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4. API 문서 작성

  위 사진은 Gitbook Tool을 사용하여 만든 Mohaji의 API 문서의 일부를 발췌한 사진입니다. 우측 목차를 보게되면 현재 10개 정도의 API를 만들었습니다. 저희 서비스의 주요 기능 중에 하나인 업체 정보들을 어떻게 화면에 나타낼 것인가?를 아직 정하지 못해 간단하게만 구성하여 놓았는데, 오늘 카카오의 지도API 측을 살펴보니 괜찮은 기능들이 많이 보여 아마 카카오 지도 API를 사용하여 업체정보들에 대한 것을 화면 상에 표시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 밖에도 API문서를 작성하면서 라우터 처리나 req,res에 어떤 정보들을 담아야할지를 잘 모르겠어서 내일 좀 더 디테일하게 잡을 예정입니다.

5. 마무리하며...

  오늘도 하루를 돌아보니 참 많은 것들을 만들었다는 생각이드는 하루입니다. 14일 프로젝트에서 벌써 3일을 사용하여 이제 11일만 남았네요... 추석에도 친척들과 만나는 시간을 줄여서라도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높이지 않으면 생각했던 기능들의 50% 도 구현하지 못할까 걱정이 됩니다... 하지만 우리 팀원들과 저를 믿으면서 내일도 오늘 같은 마음으로 힘차게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족한 TIL 블로그를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블로그를 쓰는 지금 시간은 늦은 밤이네요ㅎㅎ 모두들 행복한 꿈 꾸시기 바랍니다. Good Night~~!!